
*열이 심할 때는 해열제를 먼저 사용하자
열이 나는 것 자체가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아이가 열이 많이 난다고 해서 머리가 나빠지거나 뇌에 손상을
입는 경우는 거의 없으니까요. 그러나 열이 많이 나면 아이가 힘들어 하고 열성경기를 할 수도 있으므로
우선 열을 떨어뜨려야 합니다. 아이가 열이 많이 나고 힘들어 할 때는 타이레놀이나 부루펜 같은 해열제를
먹여 열을 떨어뜨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도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물로 닦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물로
닦을 때는 옷을 전부 다 벗기고 30도 정도의 미지근한 물을 수건에 적셔서 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살짝
짠 후 구석구석 온몸을 가볍게 문질러가며 닦아줍니다. 열이 많이 나면 대개 말초혈관이 수축되어 손발이
차가워지는데, 이럴 때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문질러가며 닦아주면 혈액 순환과 열을 발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이가 열이 많이 날 때는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열이 나는 아기가 열이 39도가 넘을 때, 경련을 할 때, 생후 6개월 미만일 때, 전에 경련을 일으킨 적이 있을
때는 함부로 해열제만 쓰고 있지 말고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아 열이 왜 나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나 갑자기 열이 펄펄 나고 소아과에 갈 형편이 안될 때는 해열제를 쓰기도 하는데, 보통 타이레놀이나
부루펜시럽, 써스펜 좌약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아이가 열이 날 때 싸두지 마세요
옛날에는 열이 날때 이열치열이라 하여 이불을 덮어씌우고 땀을 내게 했는데, 이는 결코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이불을 씌워두면 열이 더 올라가 열성 경련을 일으키기가 쉽고, 땀으로 인해 수분이 손실되어 탈진이 되기 쉽
습니다. 예전에는 열이 나는 병 가운데 전염성 질환이 많았기 때문에 전염을 막기 위해서 이불을 씌워두었던 것
으로 추측됩니다. 그때는 다른 아이들이라도 살리기 위한 지혜였겠지만, 의술이 발달한 지금은 굳이 아이를 고생
시키며 그런 방버을 쓸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요즘은 홍역에 걸려도 해열제를 사용하고 열이 심하면 미지근한
물로 닦아줍니다. 물론 할머니들께서 들으시면 까무라치실 이야기입니다. 간혹 소아과에서 열을 재야만 한다고
믿는 엄마들도 있는데, 그런 엄마들 가운데는 아이가 집에서는 열이 심했는데 소아과에서 재보니 열이 없다고
잘못잰 것이 아닌가 고개를 갸웃하는 분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상할 것이 하나 없습니다. 열은 오르락 내리락 하는
법이고 소아과에 오기 위해 밖에 나와 바람을 쐬면 열은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열은 집에서 심할 때 바로
재야 합니다.
Tip 1)열날 때 찬물은 NO!!
열이 많이 난다고 아이를 찬물로 닦아주는 분도 있는데, 찬물로 닦으면 아이가 추워서 떠느라 근육에서 열이 더
발생합니다. 아이의 몸에 물수건을 덮어두거나 꼭 짜서 닦는 것도 별로 좋지 않습니다. 물에 알코올을 섞는 것은
절대 안됩니다. 아이 피부를 통해 알코올이 흡수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열이 많이나고 힘들어 할
때는 해열제를 먼저 사용하고 1시간이 지나도 열이 계속 심하게 나면 옷을 다 벗기고 미지근한 물을, 물이 뚝뚝
떨어질 정도로 수건을 적셔서 온몸을 가볍게 문질러가며 닦아주면 됩니다.
Tip 2)감기 치료에 비타민 C가 도움이 된다는 의학적 증거를 저는 본 적이 없습니다.
Tip 3)부루펜은 소아과 의사의 처방이 없다면 만 6개월 이전에는 사용하지 마세요!!
Tip 4)잠깐 의학 상식!!
감기에 걸린 아이들은 당연히 식욕이 떨어집니다. 열이 나는 감기에 걸리면 더욱 식욕이 떨어지는데, 열이 가라앉은
후에도 한동안은 잘 먹으려 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아플 때는 굳이 이것저것 잘 먹이려고 하지 마세요. 수분만 충분히
섭취하면 별 문제 없습니다. 아이가 아파서 잘먹지 못하면 옛날 사람들은 ‘체기’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체기’는 너무나 다양한 병의 일면만을 강조한 표현 입니다. 열나고, 손발 차고, 하품하고, 안먹고, 토하는 증상을 가진
병은 너무나 많습니다. 일단 소아과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병에 따라 각기 다른 치료를 해야
합니다.
출처:삐뽀삐뽀 119 소아과:하정훈(소아과 전문의)
대한 의사협회 선정 추천도서
'육아할때 알아야 하는 것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에 생긴 두드러기는 응급입니다. (0) | 2020.05.11 |
---|---|
아기가 감기에 걸려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혔을 때는 (0) | 2020.04.25 |
아이의 버릇, 부모하기 나름입니다.-6 (0) | 2020.04.20 |
생후 6개월 영아 성착취물 사이트 운영자 손정우 (0) | 2020.04.20 |
부산 남구, 진구, 해운대구 1인당 재난지원금 5만원씩 지급/대구 확진자 0명/경기도 재난기본소득 신청방법 (0) | 2020.04.10 |